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LK-99'는 상온에서 바늘 모양의 미세 결정립을 가진 초전도체로 분석되며, LK-99 논문 저자가 이를 "맞는 해석"이라고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LK-99에 다른 물질과 섞인 1차원 초전도체를 분리하려면 추가적인 기술적 도전이 예상되며, 산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핀테크 스타트업 보나사피엔스의 김인기 대표는 LK-99가 상온 초전도체와 강자성체의 특성을 모두 가진다며 구리의 결정 내 위치에 따라 성질이 달라진다고 SNS에 언급했습니다. 김 대표는 물리학 박사 출신으로, 물리학 학·석·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보나사피엔스를 창업했으며, 물리학의 열확산 이론을 활용한 위험률 0 자산운용 플랫폼을 사업 모델로 채택하였습니다.
김 대표는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LK-99의 성질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LK-99에 다른 물질과의 섞임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지만 초전도성을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 발전과 함께 다른 물질을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초전도상의 존재는 확실하다고 언급했습니다.
김 교수는 물리학적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LK-99의 전기적 특성에 대해 설명하며, 다른 물질과의 혼합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면 전기저항 0을 달성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LK-99의 구리 원자가 초전도성 발현에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그 역할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LK-99 논문의 저자 중 한 명인 김현탁 교수는 LK-99의 해석이 옳다고 확인하며 1차원 구조의 존재를 강조했습니다.
오 교수는 구리의 역할과 위치에 따른 변화에 대해 설명하며, LK-99가 초전도체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구리의 정확한 위치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세라믹화합물 파우더를 실험실 수준에서 만들어 파일럿 규모로 생산하고 활용할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김현탁 교수는 LK-99의 초전도체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자본과 제조 능력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