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자 IT 과학 ]서울시가 ‘휴대용 SOS 비상벨’ 세트를 지급한다2023-11-15 19:05:53경찰 자동 신고 기능까지 갖춘 ‘지키미’. 서울시가 긴급상황에서 자신을 지키고, 경찰 자동 신고 기능을 갖춘 휴대용 SOS 비상벨 ‘지키미’를 지급한다. ‘지키미’는 112에 자동 신고되는 휴대용 SOS 비상벨과 강력한 경고음을 발생하는 안심 경보기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용 SOS 비상벨은 기기 작동 시 발생하는 경고음으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미리 설정한 지인들(최대 5인)에게 위치가 담긴 비상 문자 메시지를 즉시 발송한다. 안심 경보기는 고리를 잡아당기면 경고음이 발생되며, 이를 통해 가해자의 범행의지를 위축시키고 주변에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는 잇따른 강력 범죄로 인한 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오는 12월 말부터 성폭력, 가정폭력, 교제 폭력, 스토킹 등의 ..
- [ 전자 IT 과학 ]구글, 12월부터 수백만 개의 지메일 계정 삭제 시작한다2023-11-15 18:49:32단,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계정만. 구글이 12월부터 정기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지메일 계정을 삭제한다. 삭제는 최소 2년 동안 비활성 상태로 남아있는 계정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여기에는 구글 포토 라이브러리, 구글 캘린더, 구글 문서 보관함 등을 포함한다. 구글 제품 관리 부사장 루스 크리첼리는 악의적인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계정을 삭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정책은 개인 계정에만 적용된다. 루스 크리첼리는 잊어버리거나 방치된 계정은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오래된 비밀번호나 재사용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2단계 인증을 설정하지 않았으며, 사용자의 보안 점검을 덜 받기 때문에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루스 크리첼리는 계정을 활성 상태로 유지하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라고..
- [ 전자 IT 과학 ]나사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금속형 행성 ‘프시케’ 탐사에 나선다2023-11-12 16:24:09“프시케의 가치는 수천조 달러에 이를 것.” 나사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암석이 아닌 금속으로 이뤄진 행성 ‘프시케’ 탐사에 나선다. 나사는 오는 12일 오후 11시 16분,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에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있는 금속 소행성 프시케를 탐사할 우주선을 스페이스엑스의 팰컨헤비 로켓에 실어 발사한다. 프시케는 폭 2백80km에 이르는 소행성으로 철, 니켈 등 금속 성분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나사는 최대 60퍼센트의 비중이 금속으로 이뤄진 행성일 것이라 추측했다. 프시케는 태양과 3억7천8백만~4억9천7백만km 떨어진 거리에서 5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소행성이며 자전 주기는 네 시간이다. 탐사선은 앞으로 약 6년간 40억km 달려 2029년 8월 중 프시케에 도착할 예정이다. 2026년..
- [ 전자 IT 과학 ]애플, 새로운 M3 칩과 아이맥, 맥북 프로 공개2023-11-12 16:18:42M1보다 최대 2.5배 빠르다. 애플이 한국 시각 10월 31일 개최한 이벤트에서 M3 칩과 이를 탑재한 아이맥, 맥북 프로를 공개했다. M3 시리즈는 M3와 M3 프로, M3 맥스로 구성됐다. M3 시리즈에는 차세대 GPU를 탑재했으며, 이는 기존 GPU와 달리 하드웨어에서 로컬 메모리 사용을 실시간으로 할당하는 다이내믹 캐칭이 도입됐다. 이와 함께 장면과 상호작용하는 빛의 속성을 모델링해 실제와 흡사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하드웨어 가속형 레이 트레이싱이 맥에 최초로 적용됐다. 속도는 M1 제품군 대비 최대 2.5배 빠르다. M3 시리즈의 CPU는 M1 제품군 대비 최대 30% 향상됐으며, 효율 코어 처리 속도는 M1 대비 최대 50% 증가했다. 각 제품은 최대 128GB의 메모리..
- [ 전자 IT 과학 ]애플의 생성형 AI, 아이폰 16부터만 탑재된다?2023-11-12 16:02:45iOS 18에 대규모 변화가 올 전망. 애플이 개발 중인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내년에 출시될 아이폰 16부터 탑재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금일 의 보도에 따르면, IT 관련 소식을 전하는 @Tech_Reve는 애플의 차세대 운영체제인 iOS 18는 클라우드 기반 AI를 통해 수백만 대의 기기에 새로운 LLM을 도입할 예정이며, 이는 아이폰 16부터 도입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달 는 애플이 시리에 탑재될 다양한 생성형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한 이는 메시지와 음악 앱에도 도입되어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할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 페이지와 키노트 앱에도 AI가 적용될 것이라는 가능성 또한 제기됐다. 다만 이에 대..
- [ 전자 IT 과학 ]태양계 밖의 소행성 지대가 발견됐다2023-11-11 14:07:59고리의 내부가 관측된 것은 처음.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외계 소행성 지대를 최초로 촬영했다. 지난 8일 은 애리조나 대학교와 나사의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지구에서 약 25광년 떨어진 포말하우트 소행성 지대를 촬영했다고 보도했다. 포말하우트 주변에선 별로부터 약 2백30km에 걸쳐 펼쳐져 있는 고리의 내부가 포착된 것이다. 해당 고리는 1983년에도 관측된 바 있지만, 그 내부가 포착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관측된 고리가 세 개의 잔해 지대로 구성됐으며, 포말하우트에서 가장 가까운 고리는 태양계의 소행성대보다도 넓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내부의 고리 2개가 별 주위의 모든 것으로부터 23도 기울어져 있다는 것 역시 발견됐다. 이는 고리가 별 외에도 다른..
- [ 전자 IT 과학 ]인스타그램 DM 읽음 표시 숨길 수 있는 기능 추가2023-11-09 18:12:29‘읽씹’가능? 인스타그램이 다이렉트 메시지(DM)의 ‘읽음’ 표시를 숨길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 IT 관련 소식을 전하는 는 최근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CEO가 “사용자가 DM에서 읽음 확인을 끌 수 있는 기능을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더불어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또한 “인스타그램의 개인 정보 보호 설정 탭에서 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기능이 도입되더라도, 조회 후 사라지는 ‘배니시 메시지’는 읽음 확인을 끌 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 [ 전자 IT 과학 ]갤럭시 Z 폴드 6에 S펜 탑재될수도?2023-11-05 21:38:40탈부착 형식이 유력하다.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에 스타일러스 펜을 붙인다는 루머가 전해졌다. 금일 IT 관련 소식을 전하는 는 삼성전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스마트폰 후면 커버나 측면에 부착하는 특허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특허 문서를 기반으로 만든 갤럭시 Z 폴드6의 시제품 이미지도 함께 공개됐다. 해당 하단이미지엔 스마트폰 후면의 움푹 들어간 홈에 부착할 수 있는 S펜의 모습이 그려졌다. 를 비롯한 외신들은 이에 대해 “스타일러스 펜을 스마트폰 자체에 내장할 경우 기기 부피가 커질 수 있지만, 외부에 스타일러스 펜을 부착하는 방식은 폴더블폰의 슬림한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해당 부착 방식은 S펜이 쉽게 떨어져 나가거나 무선 충전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것으로 ..
- [ 전자 IT 과학 ]사라진 엣지 디스플레이, 삼성 갤럭시 S24 울트라 티타늄 렌더링 유출2023-11-04 15:20:20동영상과 사진 두 가지. 삼성 갤럭시 S24 울트라의 렌더링이 유출됐다. 렌더링은 지금까지 공개된 각종 정보와 루머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렌더링 영상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S24 울트라에는 티타늄 프레임이 적용되며, 새로운 스피커 그릴과 컬러 S-펜, 덜 둥근 버튼과 덜 구부러진 본체 등이 적용됐다. 이와 함께 기존 에지 디스플레이 대신 측면에 굴곡이 가미된 평면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에지가 탑재됐다. 칩셋은 스냅드래곤 8 3세대가 사용될 전망이다. 스냅드래곤 8 3세대 탑재에 관한 내용은 2023년 8월 16일 IT 팁스터 요게시 브라에 의해 공개됐다. 이후 8월 22일 팁스터 아이스 유니버스는 플랫 디스플레이와 규격, 해상도 등의 내용을 전했다. 공개된 삼성 갤럭시 S24 울트라 티타늄 렌더링은 하단링..
- [ 전자 IT 과학 ]AI가 만든 창작물, 어떻게 대우해야 할까?2023-08-14 00:01:06인공지능(AI)으로 사람 목소리나 외모를 실제와 비슷하게 합성하는 기술을 '딥페이크'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음악 등의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문제로 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 챗GPT 기술의 부상으로 인해 AI가 다양한 분야에서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전문 분야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협진과 법조 서비스가 구현되고 있지만, 아직은 법으로 막혀 일시적으로 제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AI 관련 창작물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AI와 관련된 지식재산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대한 대안이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모든 국가에서 AI를 발명자로 인정하지 않는 현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이 문제에 대한 전..